29번에서는 리스트에 있는 문자로 문자열을 만들어 보았다.
2023.08.17 - [BOOK/파이썬 문제풀이 100] - 29. 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로 하나의 문자열 만들기(join)
29. 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로 하나의 문자열 만들기(join)
join() 이란 파이썬에서 리스트가 있을 때, 이 리스트의 문자열들을 연결(join)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만들고 싶을 때 join()을 사용한다. 즉, 리스트 -> 문자열 함수 형태 문자열변수이름 = '문자와문
jijibae.tistory.com
이번에는 문자열을 분리해 리스트를 만들어주는 split()에 대해서 알아보자
split 이란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단어와 단어로 분리할 때 split()를 사용한다.
즉, 문자열 -> 리스트
함수 형태
리스트변수이름 = 문자열.split(단어사이를분리할문자)
예시1. 문자열을 공백 단위로 분리
# 문자열 생성
text = 'Jisu Haneul Mother Father'
# 공백 단위로 문자열 분리 후 리스트로 저장
result = text.split()
# 출력
print(result)
결과
예시2. 문자열을 Dot(.) 단위로 분리
a = "안녕하세요. 저는 초보 개발자입니다. 우리 같이 열심히 해요."
#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로 만들 b 정의
b = a.split('.')
#출력
print(b)
결과
마지막 dot의 뒤까지 나눈 것을 볼 수 있다.
깨알지식
코딩테스트에서 입력 받을 때, input().strip().split() 으로 입력을 받는데
input()은 한 줄을 받는 함수이고,
strip()은 처음과 끝의 공백을 없애주는 함수이고,
split()은 문자열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리스트로 만들어주는 함수이다.
'✍🏻Language & FrameWork > 파이썬 문제풀이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도, 개, 걸, 윷, 모' 윷놀이(count) (0) | 2023.08.18 |
---|---|
44. 올해는 윤년일까? (0) | 2023.08.18 |
29. 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로 하나의 문자열 만들기(join) (0) | 2023.08.17 |
23. 리스트 합치기(extend) (0) | 2023.08.17 |
22.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기(insert)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