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끈따끈한 후기 가지고 왔습니닷!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5년 4월 20일에 실시했던 정보처리기사 1차 실기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현재 저는 정보통신공학부를 졸업한 전공생이며,
해당 후기는 취득 당시인 갓 졸업한 전공생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실기는 아래의 책을 기본서로 사용했습니다.
 
 

기본서

개념서(교보문고제공)

 

목차,구성(교보문고제공)

 
 
 
 
 

장점

이 책이 좋았던 이유는 (광고 아님)
1. 고득점이 아닌, 합격이 목표라면 충분히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2. 출제 빈도를 상/중/하 로 표시 되어있어 공부 전략을 세우기 쉬움
3. 필기 + 실기 한 번에 대비 가능

 
 
 

공부 기간

당시 원서 접수가 3월 24일이었는데, 4월 20일에 실시된 실기는 필기와 다르게 제가 원하는 날에 시험을 못 보므로
원서 접수와 동시에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약 한 달)
놀 땐 놀고, 공부를 못하는 날도 있었지만 하루에 1~2시간씩은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공부법

필기 때나 실기 때나 100점을 받으면 좋겠지만, 국가시험은 합격만 하면 된다는 마인드였습니다.
 
정보처리기사는 총 20문제가 출제됩니다.
코드가 아닌 용어 8~10 문제는 무조건 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필기의 문제 다수. 어렵지 않음)
 
정보통신기사와 다르게 공부를해도 처음보는 용어를 설명하는 문제가 초반에 위치했었는데,
문제를 잘 읽어보고, 보기에 나온 용어중 아는 것을 제외한 뒤, 의미를 잘 생각해보면 충분히 푸실 수 있습니다. 
 
필기에서 출제되었던 응집도, 결합도, 디자인패턴 종류는 항상 나오는 것 같습니다.
 
사실 당락을 결정하는 요소는 코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코드의 이해도가 높으신 분들은 실기 공부로는 용어나 개념쪽을 더 학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어려운 코드와 쉬운 용어 문제 배점이 똑같습니다.....(특징 문제는 부분점수도 줌..)
 
저도 개념이 조금 더 어려운 느낌이라
실기에 자주 출제되는 부분은 아래와 같이 따로 표시하여 뇌를 세뇌시켰습니다.
 
 

 
 

귀찮고, 힘들겠지만 손으로 적으면서 공부를 해야 실기 답을 작성할 때도 거부감이 없습니다.

 
 
 

준비물

1. 신분증 / 운전면허증
2. 흑색 볼펜
3. 수험표
4. '원트로 끝낸다' 의 마음가짐
5. 시험 당일 늦지 않는 부지런함
6. 머리 속의 지식
 

※ 수혐표 지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 표지와 OMR에 수험번호 적음)

 
 

시험장소

실기는 학교에서 진행되므로 크게 어려운 점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저는 대치중학교에서 응시했습니다.
 
역에서 가깝고, 언덕도 없고, 시설도 좋았습니다~

 

 
 

합격을 했다면

축하드립니다~
얼른 실물 자격증 받아야죠~
상장과 카드 모두 신청해요 ^_^ ( 상장형 자격증 액자에 걸어두고 있습니다 )
모두 합격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이번엔 조금 더 빠르게 후기를 작성합니다 ^_^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5년 3월 1일에 실시했던 정보통신기사 1차 필기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현재 저는 정보통신공학부를 졸업한 전공생이며,
해당 후기는 취득 당시인 갓 졸업한 전공생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필기는 해당 책을 기본서로 사용했습니다.
 
 

기본서

개념서(교보문고제공)

 

목차,구성(교보문고제공)


 

장점

이 책이 좋았던 이유는 (광고 아님)
1. 실제 시험장에서 시험을 봐야 하는 과목 순서인 1~5과목 순서로 책이 구성되어 있었던 점이 유용
   (일부 개념서 or 보안기사 같은 경우는 개념의 이해를 위해 순서가 다르게 되어있음)
2. 출제 빈도를 상/중/하 로 표시 되어있어 공부 전략을 세우기 쉬움

3. 필기 + 실기 한 번에 대비 가능

 

단, 실기와 필기 출제 부분이 뚜렷하게 표시가 없어서 실기때는 더 신경써서 공부해야합니다.

 

 

 

공부 기간

당시 원서 접수가 1월 13일이었는데, 평일에는 9-6의 보안교육을 듣고 있었기에 시간이 빠듯하다고 생각하여

원서 접수와 동시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약 한 달 반)

공부를 못하는 날도 있었지만 점심시간도 쪼개가면서 하루에 1~2시간씩은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전공생 + 학습의 시간이 많다면 1~2주 안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법

저는 공부를 문제-답으로 외우는 것을 지양하는 사람이었기에 (무조건 이해가 필요함;;;)
기출문제를 돌리기 전에 개념을 숙지하려고 하였습니다.

 

1과목인 소프트웨어 설계에서는 다양한 개발 방법론, 다이어그램, 응집도, 결합도등 비슷비슷한 용어와 개념이 많기에 뚜렷한 구별에 신경을 썼습니다.

 

2과목인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자료구조와 정렬의 개념과 작동방식은 알고 있었기에 트리 순환, 정렬 종류와 회차별 정렬 결과, 전/중/후위 변환을 집중적으로 학습했습니다.

 

3과목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도 어려움이 크게 없어서 제 1,2,3 정규화, 명령어를 집중적으로 학습했습니다.

 

4과목인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에서는 C, Java, Python 언어의 학습이 되어있었으므로, C에서는 (이중)포인터, Java와 Python 에서는 코드 문제를 집중적으로 학습하였습니다.
 

5과목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에서는 네트워크 기본 지식과 접근 통제 정책, 암호쪽을 집중적으로 학습하였습니다.

 


이후로는 기출들이 모여있는 유명한 웹사이트인 최강 CBT의 도움을 받아
익힌 개념을 기반으로 기출을 5개년 풀었습니다.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준비물

1. 신분증 / 운전면허증

2. 수험표
3. '원트로 끝낸다' 의 마음가짐
4. 시험 당일 늦지 않는 부지런함
5. 머리 속의 지식
 

 수험표가 없어도 지장은 없습니다.

 
 

시험장소

시험장소가 매우매우매우매우 많습니다..^^

 

집 근처로 가는게 아무래도 좋겠죠!?

 


 
 

합격을 했다면

축하드립니다~ (자리에서 바로 점수 확인 가능)
합격 날 당일에 바로 응시 자격 서류를 제출하세요. (까먹지 말고)
홈페이지에서 바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모두 합격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너무 늦은 후기입니다. . .

 
 

필기 후기는 아래의 글을 확인해주세요:D

2025.06.12 - [Certification/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기사] 2024년 1차 필기 합격 후기

[정보통신기사] 2024년 1차 필기 합격 후기

너무 늦은 후기입니다. . .이때 왜 정처기를 안 했을까. . .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4년 3월 21일에 실시했던 정보통신기사 1차 필기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현재 저는 정보통신공학부를

jijibae.tistory.com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4년 4월 27일에 실시했던 정보통신기사 1차 실기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현재 저는 정보통신공학부를 졸업한 전공생이며,
해당 후기는 취득 당시인 대학교 4학년 전공생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실기는 아래의 책들을 기본서로 사용했습니다.
 
2024년과 2025년 크게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기본서

필수로 봐야하는 온고지신
필기의 개념은 항상 기본!

 
 
 
 

장점

온고지신 책이 좋았던 이유는 (광고 아님)
1. 이 책을 안 보겠다 = 실기 준비를 어렵게 하겠다
    기사 실기를 파트별로 기출 문제 정리해놓은 책이 어디 있을까....싶음
2. 문제에 대한 해설이 다음페이지에 있음 + 해설도 깔끔
3. 진짜 문제가 많음 
 
온고지신에는 문제에 대한 해설 위주이므로 필기용 개념서도 필요합니다 !
 
 
 

공부 기간

당시 원서 접수가 4월 1일이었는데, 시험이 빠른 탓에 3월 말부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약 한 달)
놀 땐 놀고, 공부를 못하는 날도 있었지만 하루에 2~4시간씩은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공부법

필기 때나 실기 때나 100점을 받으면 좋겠지만, 국가시험은 합격만 하면 된다는 마인드였습니다.
 
제가 알기로 16문제..? 18문제..?가 출제되는데
앞의 10문제는 무조건 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용어 문제 다수 어렵지 않음)
 
이전에 필기 공부를 함에 있어서 과목 별로 노트(총 5권)를 만들어서 개념을 정리했었습니다.
 
필기 개념과 온고지신에서 나온 문제 유형을 보면서, 어느 부분이 자주 출제되는지 확인을 하였고,
 
온고지신에서 자신 있는 부분과 자신 없는 부분을 확실하게 체크하면서 3회독 이상 했습니다.
 
아직도 기억에 남는 것이 온고지신 마지막 페이지에 있던 전송선로 전?후? 길이 계산 문제였는데
책에 있는 형식 그대로 나와서 소름 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문제 맞아서 합격했습니다.)
 
절대적으로 온고지신을 믿어야 합니다.
 
또한, 많은 도움을 받았던 유튜브 강의가 있어 소개합니다. (GOAT)
 
https://youtu.be/7xuO5GInL8Y?si=vf6WjT5-_trpqcpg

 

이 강의에서 과년도 기출문제를 분석해주시는데
통신용어 → 설계/감리, 설계 3단계 . . .
통신기술 → 품질척도, 주파수와 파장 . . .
정보통신 → 802.11g/a, NMS . . .
와 같은 개념들이 필기 책의 어느 부분에 있는지 체크하고,
 
과목별로 정리했었던 공책의 뒷부분에 실기 파트를 만들어서 실기 중점으로 다시 정리했습니다.
 
효과는... 확실했습니다 !
 

귀찮고, 힘들겠지만 손으로 적으면서 공부를 해야 실기 답을 작성할 때도 거부감이 없습니다.

 
지금보니까 2024년 1회 실기 합격률이 20% 였네요...ㄷㄷ

출처 : 수도 스터디 Youtube

 
 

준비물

1. 신분증 / 운전면허증 / 여권
2. 흑색 볼펜
3. 수험표
4. 공학용 계산기(사용 가능한 계산기 확인 필수!!!)
     → 2025년 사용 가능한 계산기 공지사항  https://www.cq.or.kr/qh_cusgm01_003.do
5. '원트로 끝낸다' 의 마음가짐
6. 시험 당일 늦지 않는 부지런함
7. 머리 속의 통신 지식
 

※ 수혐표가 크게 필요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시험장소

실기는 학교에서 진행되므로 크게 어려운 점은 없는 것 같습니다.

 

 
 

합격을 했다면

축하드립니다~
얼른 실물 자격증 받아야죠~
상장과 카드 모두 신청해요 ^_^
모두 합격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너무 늦은 후기입니다. . .

이때 왜 정처기는 안 했을까. . .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4년 3월 21일에 실시했던 정보통신기사 1차 필기 합격 후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현재 저는 정보통신공학부를 졸업한 전공생이며,
해당 후기는 취득 당시인 대학교 4학년 전공생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필기는 해당 책을 기본서로 사용했습니다.
 
2024년과 2025년 크게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기본서

책의 목차(교보문고제공)
본문내용(교보문고제공)
출제 예상 문제(교보문고 제공)

 
 
 

장점

이 책이 좋았던 이유는 (광고 아님)
1. 실제 시험장에서 시험을 봐야 하는 과목 순서인 1~5과목 순서로 책이 구성되어 있었던 점이 유용
   (일부 개념서 or 보안기사 같은 경우는 개념의 이해를 위해 순서가 다르게 되어있음)
2. 전공 수업 당시 들었던 용어에 대한 깊은 설명
3. 해당 챕터 끝의 출제 예상 문제 
 
 
 

공부 기간

당시 원서 접수가 2월 19일이었는데, 원서 접수와 동시에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약 한 달)
놀 땐 놀고, 공부를 못하는 날도 있었지만 하루에 2~4시간씩은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공부법

저는 공부를 문제-답으로 외우는 것을 지양하는 사람이었기에 (무조건 이해가 필요함;;;)
책을 전체적으로 한 번만 보면서, 과목별 공책(총 5권)으로 적어가며 학습하여 필요한 개념을 익혔습니다.
이렇게 공부를 하게 되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약 한 달),
필기 합격 이후 실기를 준비함에 있어서 크게 어려운 점이 없습니다.
 
이후로는 기출들이 모여있는 유명한 웹사이트인 최강 CBT의 도움을 받아
익힌 개념을 기반으로 개정 후의 기출만을 풀었습니다.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개정 전의 부분은 안 나오는 줄 알았습니다만..
필기시험을 보고 느낀 것이 개정 전과 후의 겹치는 영역은 개정 전의 기출이라도 출제되었습니다.
 

※ 급하게 필기 합격만을 위한다면 개정 후 + 개정 전의 기출 5~7개년까지는 보셔야합니다. 
    다른 저의 전공생 지인은 이 방법으로 필기 합격을 하였습니다.

 
 

준비물

1. 신분증 / 운전면허증
2. 공학용 계산기(사용 가능한 계산기 확인 필수!!!)
     → 2025년 사용 가능한 계산기 공지사항  https://www.cq.or.kr/qh_cusgm01_003.do
3. '원트로 끝낸다' 의 마음가짐
4. 시험 당일 늦지 않는 부지런함
5. 머리 속의 통신 지식
 

수험표는 필요 없습니다. (서울 본부 기준)

 
 

시험장소(서울본부 기준)

 

 

해당 건물은 서 / 동 관으로 나뉘며,
저는 서관 2층에서 봤습니다.
 
2층으로 올라가면, 시험 좌석 번호 확인 후
신분증을 감독관님께 제시하여 본인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후 자신의 모든 개인 짐은 곧장 캐리어에 들어가게 되고,
입실 가능 시간까지 대기를 하며,
 
입실 시간이 되면
몸 + 옷 + 공학용 계산기 말고는 아무것도 함께 하실 수 없게 됩니다 ^_^
 
 

합격을 했다면

축하드립니다~
합격 날 당일에 바로 응시 자격 서류를 제출하세요. (까먹지 말고)
홈페이지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저는 최종학년 재학 증명으로 제출했으며,
제출 이틀 후에 직접 전화로 심사 결과 확인했습니다.

모두 합격하길 진심으로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