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번에서 리스트의 끝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append() 함수와 원하는 인덱스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del 명령어를 배웠다.
2023.08.17 - [BOOK/파이썬 문제풀이 100] - 21. 리스트 추가, 삭제하기(append, del)
21. 리스트 추가, 삭제하기(append, del)
14번의 replace() 함수에 이어 이번에는 append() 와 del 함수를 알아볼 것이다. 2023.08.17 - [BOOK/파이썬 문제풀이 100] - 14. 문자열 바꾸기(replace) 14. 문자열 바꾸기(replace)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다른 문
jijibae.tistory.com
이번에는 insert()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insert()란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추가할 때는 insert() 함수를 사용한다.
원래의 위치에 있던 데이터는 인덱스가 1 커지면서 슬라이드 된다.
함수 형태
리스트.insert(위치, 데이터)
예)list.insert(2, 'jisu') #list라는 리스트의 인덱스 2에 'jisu' 삽입
예시. 인덱스 1에 데이터 삽입
#리스트 생성
nums = [1, 2, 3]
#insert 함수를 이용하여 1번째 인덱스에 [4,5,6] 추가
nums.insert(1, [4,5,6])
#출력
print(nums)
결과
첫 줄의 nums = [1, 2, 3]에서 2는 index 값이 1인 것을 알 수 있다.
insert()를 사용한 후의 결과에서 2는 index 값이 2인 것을 알 수 있다.
'✍🏻Language & FrameWork > 파이썬 문제풀이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로 하나의 문자열 만들기(join) (0) | 2023.08.17 |
---|---|
23. 리스트 합치기(extend) (0) | 2023.08.17 |
21. 리스트 추가, 삭제하기(append, del) (0) | 2023.08.17 |
14. 문자열 바꾸기(replace) (0) | 2023.08.17 |
8. 몫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