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번에서는 리스트의 원하는 부분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insert()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2023.08.17 - [BOOK/파이썬 문제풀이 100] - 22.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기(insert)
22.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기(insert)
21번에서 리스트의 끝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append() 함수와 원하는 인덱스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del 명령어를 배웠다. 2023.08.17 - [BOOK/파이썬 문제풀이 100] - 21. 리스트 추가, 삭제하기(append, del) 21.
jijibae.tistory.com
23번에서는 리스트를 합칠 때 사용하는 extend()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다.
extend() 란
파이썬에서 iterable한 자료를 끝에 추가하고 싶을 때 extend()함수를 사용한다.
앞에서 배운 append()함수와 끝에 추가하는 것은 같으나, 다른 점은 extend()의 () 안에는 iterable 자료형만 올 수 있다는 것이다. interable 자료형이 아닌 경우 TypeError가 발생한다.
함수 형태
리스트1.extend(리스트2)
예)list1.extend(list2)
이때, 주의해야할 것이 이 결과가 곧 리스트1이 된다는 것이다. 즉, 리스트1이 변경되어 확장된다는 것이고,
리스트2는 변함없다.
예시1. 리스트 2개를 합치기
#리스트 생성
nums = [1, 2, 3]
#iterable한 자료형을 추가
nums.extend([4,5])
#출력
print(nums)
결과
예시2. append()와 extend()의 차이
nums = [1, 2, 3, 4]
#append()를 사용하여 자료 5를 추가
nums.append(5)
#출력
print(nums)
#extend()를 사용하여 자료 6을 추가
nums.extend([6])
#출력
print(nums)
결과
다음과 같이 자료 1개를 추가할 때는 append()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append()함수가 iterable 자료형의 요소를 각각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그럴 때는 extend() 함수를 사용하면 되겠다.
'✍🏻Language & FrameWork > 파이썬 문제풀이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문자열 분리해 리스트 만들기(split) (0) | 2023.08.18 |
---|---|
29. 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로 하나의 문자열 만들기(join) (0) | 2023.08.17 |
22.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기(insert) (0) | 2023.08.17 |
21. 리스트 추가, 삭제하기(append, del) (0) | 2023.08.17 |
14. 문자열 바꾸기(replace) (0) | 2023.08.17 |